카테고리 없음
2025년 근로소득 세율표|연봉별 실제 세금은 얼마일까?
하링파링모닝카
2025. 4. 19. 15:11
반응형
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궁금한 질문,
“내 연봉에서 실제 세금은 얼마나 빠져나갈까?”
2025년 변경된 근로소득 세율표와 함께,
연봉별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또한 연말정산을 대비해 꼭 알아야 할
절세 꿀팁도 함께 알려드릴게요.
✅ 2025년 근로소득 세율표 총정리
2025년 근로소득에 대한 세율은 누진세 구조로 되어 있어
수입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.
과세표준 구간 (과세표준 기준)세율누진공제액
1,400만 원 이하 | 6% | - |
1,400만 원 초과 ~ 5,000만 원 이하 | 15% | 126만 원 |
5,0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 | 24% | 576만 원 |
8,800만 원 초과 ~ 1억 5,000만 원 이하 | 35% | 1,544만 원 |
1억 5,000만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| 38% | 1,994만 원 |
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| 40% | 2,594만 원 |
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| 42% | 3,394만 원 |
10억 원 초과 | 45% | 5,894만 원 |
📌 과세표준이란?
연봉에서 근로소득공제·인적공제 등을 뺀 금액으로, 세율이 실제 적용되는 기준입니다.
💰 2025 연봉별 실수령액 시뮬레이션
아래는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을 공제한
월 실수령액 및 연간 수령액 예상치입니다. (1인 근로자 기준)
연봉월 실수령액 (세후)연간 실수령액
3,000만 원 | 약 224만 원 | 약 2,691만 원 |
4,000만 원 | 약 292만 원 | 약 3,505만 원 |
5,000만 원 | 약 355만 원 | 약 4,263만 원 |
6,000만 원 | 약 418만 원 | 약 5,022만 원 |
7,000만 원 | 약 479만 원 | 약 5,753만 원 |
8,000만 원 | 약 531만 원 | 약 6,381만 원 |
9,000만 원 | 약 587만 원 | 약 7,045만 원 |
1억 원 | 약 642만 원 | 약 7,708만 원 |
🔍 실수령액은 개인 공제항목, 가족 구성, 비과세 수당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📌 절세를 위한 꿀팁 4가지
- 연금저축 + IRP 가입하기
→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!
→ 고소득자일수록 공제 혜택은 더 커짐 -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 활용하기
→ 카드 공제율: 신용카드(15%) < 체크카드/현금영수증(30%) - 교육비·의료비·기부금 영수증 챙기기
→ 자녀 학원비, 안경 구매비용 등도 공제 대상일 수 있음 - 부양가족 등록 꼼꼼히!
→ 연소득 100만 원 이하 부모님·형제자매도 등록 가능
🧠 중간 요약 박스
📊 2025 근로소득 세율: 6%~45% 누진세 구조
💵 월 실수령액: 연봉 3천만 원 기준 약 224만 원
🧾 절세 방법: 연금저축, IRP, 카드공제, 부양가족 등록 등
📅 연말정산 준비: 홈택스 연동 + 공제자료 미리 확보
📣 마무리 – 세금은 모르면 손해, 알면 돈이다
연봉이 같아도 세금이 다른 이유는
공제 항목 활용 여부와 세금 구조에 대한 이해 차이 때문입니다.
이번 포스팅을 참고해
✔ 자신의 실수령액을 계산해보고
✔ 연말정산을 미리 준비해보세요.
알면 돈 되는 세금 구조,
이제는 제대로 알고 절세합시다!
반응형